UXUI
디자인 원칙
Euijung
2025. 1. 27. 19:10
✒️ 디자인 원칙
인지심리학의 관점에서 디자인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을 정해놓은 것
게슈탈트 심리학, UX 비주얼 디자인 원칙, UXUI 심리학 법칙, 기업의 디자인 원칙이 있다.
💫 게슈탈트 심리학
사람이 이미지를 인식할 때 주변에 있는 요소 간의 관계와 맥락에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
- 유사성의 원리
크기나 형태, 방향, 색 등의 특성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서 인지, 색상이 가장 강력
ex) 유튜브 - 근접성의 원리
가까운 것끼리 묶어서 인지, 여백을 이용
ex) 카테고리 분류 - 폐쇄성의 원리
공백이 있더라도 틈이나 간격을 메워서 완벽한 형태로 생각하는 것
ex) 스포티파이 (이미지가 잘려있어도 옆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추측) - 연속성의 원리
연속적으로 직선이나 곡선을 이루는 요소를 잘 인지하는 경향
ex) 핀터레스트 (수직 레이아웃) - 공통성의 원리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들끼리 더 관련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경향
ex) 넷플릭스 (가로 드래그 그룹화)
💫 UX 비주얼 디자인 원칙
UX에 영향을 끼치는 시각 디자인의 원칙
- 스케일
상대적인 크기를 사용하여 구성의 중요도와 순위를 표시하는 것- 가장 중요한 요소는 덜 중요한 요소보다 크게 표현
-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3가지 이하의 크기를 사용
- 시각적 위계
중요한 순서에 따라 시선의 흐름이 이동하도록 디자인하는 것- 명확한 시각적 위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2~3개 정도의 텍스트 크기를 사용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는 채도가 높고 색상 대비가 크게,
덜 중요한 요소에는 채도가 낮고 색상 대비가 크지 않도록 적용
- 균형
디자인 요소 간에 적당한 배열이나 비율을 주는 것- 수직이나, 수평의 가상 축에 비슷한 양의 시각적 정보가 배치
- 안정적이고 정적인 느낌을 주고 싶을 땐 대칭을 사용, 역동적이고 신선한 느낌을 주고 싶을 땐 비대칭을 사용
- 대비
눈에 띄게 구별되도록 강조하기 위해 두 요소 간의 차이를 두는 것
- 특정 부분을 사용자에게 돋보이게 하고 싶을 때 사용
- 주로 명암의 차이를 주거나 색상의 차이를 주는 방법을 많이 사용
💫 UXUI 심리학 법칙
사람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학
- 제이콥의 법칙
사용자는 새로운 제품을 사용할 때 이미 알고 있는 익숙한 방식으로 작동하길 원한다는 법칙 - 피츠의 법칙
터치 대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상까지의 거리와 크기와 함수 관계에 있다는 법칙- 터치해야 하는 대상의 크기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 터치해야 하는 대상이 2개 이상이라면 둘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 터치해야 하는 대상은 마우스나 손가락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영역에 배치해야 한다.
- 힉의 법칙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에 비례해 늘어난다는 법칙- 복잡한 작업은 더 작은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의 부하를 낮추어야 한다.
- 단계가 쉽게 넘어가기 때문에 사용자는 작업시간이 길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
- 밀러의 법칙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편적으로 무언가를 기억할 수 있는 정보의 덩어리가 7(±2)개 정도라는 뜻
보통 사람은 작업 기억에 7(±2)개 정도의 항목밖에 저장하지 못한다는 법칙-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정보를 구조화, 그룹화한다.
- 유사한 정보끼리 시각적으로 뚜렷이 구별되도록 그룹으로 나누고 명확하게 체계화한다.
🔗 참고 자료
Design Principle(디자인 원칙) 구축 여정
넘치는 좋은 말 중에 알맞은 것을 고르기까지. |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냐고? 새로운 회사에 입사한 이후, 디자인 팀으로써 회사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동료들과 함께 고민
brunc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