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_11 🍀 디자인베이스 강의 시청 및 복습

내일배움캠프 UXUI 6기 11일차

오늘 왜 이렇게 피곤한 것이야


0. 디자인 카타

💭 나의 의견

A는 주요 기능을 크게 배치하여 직관적이고, 엄지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상 좋은 배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밝기 조절이나 음량 조절 등 터치 영역의 크기가 작아 터치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B는 정돈된 대칭 UI로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찾을 수 있고, 버튼의 크기가 1x1, 2x1, 1x2, 2x2로 일정하기 때문에 터치의 정확도가 올라가는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B 형식의 제어센터를 사용했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의 위치를 자주 쓰는 손을 기반으로 수정할 수 있고 기능을 추가, 삭제할 수 있는 사용자화 맞춤 서비스가 잘 되어있어 편리함을 느꼈다.

B가 보다 편리하기 때문에 B를 선호한다.

 

🔗 ThumbFriendly UX, https://brunch.co.kr/@simplifier/387

 

03화 엄지가 디자인을 지배한다 ThumbFriendly UX

UX의 언어들 | 스마트폰을 들고 화면을 바라보세요. 엄지손가락이 어디까지 닿을 수 있나요? 오늘날 모바일 UX 디자인의 핵심 화두는 바로 이 '엄지 영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한 손으로 스마트

brunch.co.kr

 

💭 팀원들과의 토의 내용

B 스타일이 기능성과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더 우수하다고 평가됨
맞춤 설정 기능, 직관적인 그룹 배치, 향상된 터치 정확도 때문에 B 스타일이 더 편리하다는 의견이 많음
볼륨·밝기 조절 방식은 갤럭시 UI가 더 직관적이라는 의견도 제시됨

❕  종합적으로 B 스타일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결론

 

🔗 디자인 카타 토픽 참고 사이트 디자이너스, https://designus.io/topic

 

토픽 | 디자이너스

세상의 모든 디자이너들을 위한 공간, 디자이너스(Designus)

designus.io


1. 디자인 아티클 읽기

오늘은 Jongmin Park님의 프로덕트 디자인 가이드북의 마지막화까지 읽었다.

UI 레이아웃과 UI 패턴에 대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는데 UXUI 입문 강의 5주차와 6주차에서 배웠던 내용들이라 복습도 되고, UI 패턴의 속성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어 좋았다. 12화 분량의 정말 유익한 글이었다👍🏻

 

🔗Jongmin Park, 2020.06.07, https://brunch.co.kr/@blckschrl/65

 

10화 UI를 위한 레이아웃

레이아웃은 특정 영역 안에 요소를 배치하는 것입니다. 스크린에서 사용하는 레이아웃은 정적인 화면 균형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추상적인 공간의 구조를 적절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또한 다양

brunch.co.kr

🔗Jongmin Park, 2020.10.05, https://brunch.co.kr/@blckschrl/69

 

12화 UI를 위한 패턴

패턴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조작해 행동하는 일반적인 과정을 뜻합니다. 컴포넌트와 다양한 시각 요소를 이용해 페이지를 설계하고, 각 페이지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최종 결과에 도달

brunch.co.kr


2. 디자인베이스 강의 시청

어제와 이어서 디자인베이스 UXUI 디자인 강의를 들었다.

2챕터 무료 강의까지 듣고 1챕과 2챕을 복습하며 정리하였다.

디자인베이스, UXUI 디자인 강의, https://designbase.co.kr/uxui-01-1/

 

UXUI 강좌 소개 및 디자인을 배워야 하는 이유 – UXUI 디자인 강좌 | 디자인베이스

안녕하세요. 오래기다리셨죠? 드디어 uxui강의를 시작합니다. 입문자를 대상으로 도움되는 내용은 어떤것들이 있을지, 그리고 이해가 가기 쉽게 설명한게 맞을지? 불필요한 내용은 없는지 이런

designbase.co.kr


📖 Chapter 1 : UX와 UI, 앱 이해

 

▸UXUI 디자이너의 역할 

  1. 유저의 원하는 목적을 잘 이룰 수 있게 해주는 역할
  2. 기업의 이윤을 높일 수 있게 해주는 역할
  • 회원가입을 높이기, 구매 전환율을 높이기, 재방문율을 높이기, 앱 설치 유도, 사용 시간 높이기 등
    여러 목적에 맞는 부분들을 UX적인 관점에서 개선,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효율적인 공부 방법 

기본기를 단단하게 하기, 동기부여하기

 

내가 잘하는 게 무엇인지, 부족한 게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것들을 채워가며 목적에 맞게 공부하는 것이 좋다.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내용과 성공 사례들이 나오고 있고, 매년 OS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며, 신기술이나 장비는 쉴 틈없이 나오기 때문에 UXUI에 대해 공부를 멈추어서는 안된다. 항상 배우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노력해야한다. 


UI 디자인 툴 소개 

  • UXUI Design - 화면을 기획하고 디자인할 때 사용
  • Graphic - 비트맵, 벡터 기반의 그래픽(아이콘)을 만들 때 사용
  • Hi-Fi Prototype - 하이퀄리티의 프로토타입을 만들 때 사용
  • HandOff - 개발 직군에 가이드라인을 넘길 때 사용
  • Animation - 애니메이션 코드로 변환할 때 사용


웹과 앱의 다른 점 

  1. 사용 접근의 차이
    웹은 브라우저에 URL만 검색하면 바로 접근이 가능하고, 앱은 스토어 내에 설치가 기본적으로 선행 되어야 한다.

  2. 업데이트 및 유지 보수
    웹은 수정 후 서버에 적용하면 바로 업데이트가 되고, 앱은 OS별 마켓 정책 기준을 통해 심사 받아야 한다.
  3. 성능과 호환성
    웹은 사용 단말기에 제한 없이 호환성이 뛰어나지만, 앱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앱은 카메라, GPS 혹은 각종 프로세싱 능력이 뛰어나다. (네트워크 없이도 동작 가능 : 캘린더, 포토 에디터 등)


Android, iOS 이해하기 

우리는 스마트폰을 바꿀 때 보통 Android면 Android로, iOS면 iOS로 바꾼다.

이처럼 인간은 익숙한 것에 편리함을 느끼고 새로운 것에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이다.

 

우리가 OS 차이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UI를 디자인 할 때 어떤 OS로, 어떤 디바이스 규격으로 작업을 할지 서로 논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환경을 꼭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규모, 기간, 개발 환경에 따라서 디자인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에 맞게 디자인해야 한다.


앱이 만들어지는 과정 

기획     디자인     개발    QA     배포
첫 단추가 가장 중요하다. 앱의 방향성을 잘 잡는게 중요!!

 

  1. 기획
    무엇을, 왜, 어떻게 만들지 고민

    ▫ 무엇을 - 신규 서비스 혹은 서비스 내 신규 기능

    - 정성적, 정량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사이트 도출
     어떻게 - 타깃 분석과 경쟁사와의 전략에 의한 계획 수립

  2. 디자인
    어떻게 경험을 설계할지 고민
    원칙 -
    브랜드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OS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제작
    경험 설계 -
    다양한 방법론을 통한 유저 플로우 설계
    차별화 -
    경쟁사와 차별화된 사용성과 그래픽 퀄리티

  3. 개발
    어떤 플랫폼에 개발할지 고민
    ▫ 플랫폼 선정
    - 리소스에 따라 초기에 어떤 OS를 런칭할지 (한 번에, 나눠서)
    ▫ 개발 진행
    - OS 환경에 따른 개발 (네이티브 or 크로스 플랫폼)
    ▫ 데이터 로깅 - 앱 내 데이터 수집을 위한 로깅 작업

  4. QA
    놓친 부분이 없는지 검증하는 단계
    ▫ QA Plan
    - 유저 저니(사용자 여정지도)에 따른 QA 계획 작성
    기능 테스트
    - 다양한 환경(기기, 접근 여부)와 시나리오에 따른 테스트 진행
    결과 공유
    - 테스트 결과 정리 및 담당자 공유

  5. 배포
    마무리 단계
    스토어 설정
    -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 내 런처 아이콘, 미리보기 및 설명 작성
    ▫ 홍보
    - 다양한 채널에 마케팅 콘텐츠 제작 및 발행
    운영 준비
    - 고객 경험 관리와 혹시 모를 오류 대비, 피드백

 


📖 Chapter 2 : UI 디자인 

 

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 

  • Layout 레이아웃
    화면 크기, 텍스트, 이미지, 여백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앱 내에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치하는 것

    ex) 1단, 2단, 3단 레이아웃

  • Grid System 그리드 시스템
    여러 종류의 요소를 질서 있게 배치하기 위한 그리드 규칙
    👁‍🗨 시각적으로 일관된 배치로 통일성을 줌, 정해진 가이드라인으로 작업 시간 단축, 예측 가능한 화면 구성

    ex) Column (4단 or 6단 컬럼), Gutter (16), Margin (16 or 20)

컬러 

앱 디자인 시 컬러가 중요한 이유
  1. 우선 순위에 따른 컬러 표현
  2. 상황에 따른 컬러 사용 (성공, 경고, 에러)
  3. 유효성 검사에 충족된 컬러 사용 (접근성)

책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  컬러 구성 

  • Primary Color
    주색 - UI 내에서 가장 메인을 사용되는 색상, 주로 브랜드의 고유 아이덴티티 색상을 사용한다.

  • Secondary Color
    보조색
    - 메인 컬러보다 덜 중요한 요소에 사용하는 색상, 보통 1~5개 정도의 보조 색상을 사용한다.

  • Neutrals
    중성색
    - 흰색부터 검정색까지 회색 음영을 포함하는 색상, 주로 배경텍스트에 사용한다.

  • Semantic Colors
    시스템 컬러
    - 목적을 전달하는 색상, 성공 / 경고 / 에러 / 정보의 상황에 따른 4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 Expended Palettes
    확장 팔레트
    - 다양한 사용 사례를 충족하기 위한 팔레트, 보통 Primary, Secondary를 900~50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올바른 컬러 사용 체크리스트


▸ 아이콘 

  • 직관적인 아이콘

 

  • 통일된 스타일 아이콘

 

  • 단순한 아이콘

 

  • 아이콘 규격 및 시각 보정


올바른 아이콘 체크리스트


타이포그래피 

  • 서체 종류 (제목용 & 본문용, 고딕, 명조, 글씨체)
  • 서체 크기와 두께
  • 텍스트 컬러

 

앱 디자인 시 타이포그래피가 중요한 이유
  1. 위계 구조 표현
  2. 정보 전달을 위한 가독성
  3. 유효성 검사에 충족된 크기, 대비 활용 (접근성)

 

 

🔗 같이 읽어보면 좋은 자료 

2025 UX 트렌드, https://brunch.co.kr/@cocomong1105/295

 

2025년, 전지적 UX적 시점

AI는 UX마저 집어삼킬 것인가? | 다가오는 2025년의 트렌드의 핵심 키워드는 [ AI 어시스턴트 ]였다. 그렇다, 어쩔 수없이 많은 변화들이 'AI'라는 바람을 타고 이곳저곳에 스며들 것이라고 본다. 현

brunch.co.kr

Jongmin Park, 프로덕트 디자인 가이드북, https://brunch.co.kr/@blckschrl/41

 

06화 UI를 위한 색

우리의 눈이 보는 색의 원리와 UI 디자인 | 색은 강한 자극을 주는 시각 언어입니다. 화면 내에서 사용자를 행동하게 하거나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요소입니

brunch.co.kr

 


오늘의 회고를 적으며 마무리~ 오공알😁

댓글